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29

"언컨택트" 더 많은 연결을 위한 새로운 시대 진화 코드 김용섭 ​ (트렌드 전문가) Trend Insight & Business Creativity를 연구하는 ‘날카로운상상력연구소’ 소장. 트렌드 분석가이자 경영전략 컨설턴트, 비즈니스 창의력 연구자다.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LG, GS, CJ, SK, 한화, 롯데 등 주요 대기업과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외교부 등 정부기관에서 2,000회 이상의 강연과 비즈니스 워크숍을 수행했고, 150여 건의 컨설팅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주간동아〉, 〈머니투데이〉, 〈세계일보〉, 〈국제신문〉, 〈비즈한국〉 등 다수 매체에 칼럼을 연재했으며, KBS 1라디오 〈최경영의 경제쇼〉, 〈박종훈의 경제쇼〉, 〈함께하는 저녁길 정은아입니다〉, 〈생방송 오늘〉, 〈성공예감〉, 〈생방송 토요일 아침〉, KBS 월드라디오 〈생생코리.. 2020. 8. 24.
"그들도 모르는 그들의 생각을 읽어라" 비합리적인 소비심리를 파고드는 100가지 마케팅 전략 로저 둘리 ​ 저자 로더 둘리는 마케팅 자문 회사인 (주)둘리 다이렉트(Dooley Direct LLC)의 회장이자 인기 블로그 ‘뉴로마케팅(Neuromarketing)’의 운영자이다. ‘뉴로마케팅’은 마케팅, 광고, 영업의 세계에서 뇌와 행동 연구를 활용하는 방법을 다루는 가장 인기 있는 블로그이다. 그는 홉슨스에서 디지털 마케팅 부사장을 지냈으며, 대학 입시생과 학부모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웹사이트 칼리지 컨피덴셜(College Confidential)의 공동 창립자이자 설계자이기도 하다. 로저 둘리는 신경마케팅 관련 주제에 관한 책을 출간하며 여러 비즈니스 학회에서 정기적으로 강연하고 있다. 1971년에 카네기멜론대학교에서 공학 학위를 받았고, 1977년에 테네시대학교에서 MBA를 수료했다. 현재 .. 2020. 8. 24.
"파괴적 혁신 4.0" 기업의 생존과 성장을 위한 11가지 핵심 가이드 ​ 1. 파괴적 기술: 변화의 물결에 올라타다 굿이어, 제록스, 뷰사이러스이리, 디지털 이큅먼트는 모두 업계를 선도하는 기업이었으나 기술이나 시장이 크게 변할 때 선두를 유지하지 못했다. 이 사실만으로도 충분히 놀랍다. 그러나 실패 원인은 더욱 놀랍다. 거기에 따르면 성공적인 기업들이 현재 빠르게 변화하는 고객의 필요에 대응하기 위해 활용하는 절차 자체가 시장을 변화시키는 기술이 등장할 때 그들을 대단히 취약하게 만든다. ​ 산업을 혁신시킬 잠재력을 지닌 기술이 등장할 때 기존 기업들은 대개 해당 기술에 별다른 매력을 느끼지 못한다. 주류 고객들이 원하는 것이 아니고, 기대 수익이 대기업의 비용 구조를 감당하기에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 결과 신기술은 최고 고객들에게 지금 인기를 끄는 기술에 밀려 간.. 2020. 8. 24.
"더 해빙" 부와 행운을 끌어당기는 힘 이서윤 ​ 대한민국 상위 0.01%가 찾는 행운의 여신. 세계 최대 출판그룹 펭귄랜덤하우스에서 선출간한 그녀의 책은 프랑스, 이탈리아, 러시아 등 20여 개국에 판권이 수출되며, 부와 행운의 법칙을 전 세계에 전하고 있다. 버락 오바마가 로스쿨 학생이던 시절 대통령의 자질을 알아보고 그를 세상에 알린 출판 에이전트 제인 디스털JANE DYSTEL은 《더 해빙》의 전 세계 에이전트를 자처하며 “돈에 대해 우리가 가져야 할 마음가짐을 가장 새롭게 담고 있는 책이다”라고 말했다. 책을 먼저 읽은 미국과 유럽의 독자들은 “매일 아침 이 책의 글귀를 읽는다”, “꼭 한 번 만나보고 싶다”, “덕분에 큰 행운이 찾아왔다” 등의 감사 메일을 보내며 그녀의 가르침을 따르고 있다. ​ 이서윤은 사주와 관상에 능했던 할머.. 2020. 8. 24.
소크라테스 씨, 나는 잘 살고 있는 걸까요? 허유선 ​ 동국대학교 철학과에서 칸트 철학을 전공했다. 강의와 저술 작업 등을 통해 ‘철학한다.’라는 것이 원래 우리의 삶과 분리될 수 없다는 것을 전하고, ‘잘 삶’에 관해 함께 철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작업을 해왔다. 최근에는 기술이 사회와 삶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두고 기술매체철학, 특히 인공지능과 디지털 미디어 플랫폼의 윤리를 연구하며 철학을 일상적으로 풀어내는 팟캐스트 〈포켓 필로소피-조금씩 익숙해지는 철학〉의 공동 제작, 진행을 맡고 있다. 「인공지능에 의한 차별과 그 책임 논의를 위한 예비적 고찰-알고리즘의 편향성 학습과 인간 행위자를 중심으로」 「칸트 윤리학의 행위자 중심성과 공동체 윤리로서의 효력-자율적 행위자와 책임귀속 효과를 중심으로」 외 다수의 논문을 썼으며, 저서로는 『나는 너.. 2020. 8. 24.
"디플레전쟁" 홍춘욱 ​ 연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한 뒤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 석사, 명지대학교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3년 한국금융연구원을 시작으로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투자운용팀장, KB국민은행 수석 이코노미스트, 키움증권 투자전략팀장(이사) 등을 거쳤다. 현재 EAR Research 대표로 있다. 2016년 조선일보와 에프앤가이드가 ‘가장 신뢰받는 애널리스트’로 선정했으며, 수년간 부동산 및 금융 분야, 국제경제 전망을 아우르는 전문가로서 각종 미 디어의 1순위 인터뷰어로 손꼽혀왔다. 지은 책으로는 『돈 좀 굴려봅시다(2012)』와 『환율의 미래 (2016)』, 『50대 사건으로 보는 돈의 역사(2019)』 외 10여 권이 있으며, 『순환장세의 주도주를 잡아라(2018)』 등 여러 권의 책을 번.. 2020. 8. 24.
[3]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에 따르면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 규모는 2019년 기준 4조6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3.5% 성장한 것으로 추산되며, 매년 성장세다. 글로벌 건강기능식품 시장 규모는 1360억 달러(약 162조5000억 원)에 이르는데, 특히 국내 시장을 선진국과 비교하면 전체 국내총생산(GDP) 대비 시장 비중이 미국(0.21%), 일본(0.25%), 유럽(0.15%)보다 낮은 0.08%에 불과해 성장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받는다. 최근 건강기능식품 시장에서 돋보이는 기능성 원료가 프로바이오틱스다. 프로바이오틱스는 지난해 6444억 원의 판매액을 기록해 2018년(5424억 원)보다 18.8% 급성장했다. 2015년 1579억 원이던 시장이 5년 사이 4배 이상 커진 셈이다. 비타민을 밀어내.. 2020. 8. 22.
[2]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 #체크포인트 1. 프로바이오틱스는 한 가지 성분이 아니다 프로바이오틱스는 다양한 유익균을 통칭합니다. 오메가-3·글루코사민 같은 단일 물질이 아니란 의미지요. 시중에서 판매하는 프로바이오틱스에는 한두 가지 균만 있는 제품도 있고 수십여 종을 담은 제품도 있는데, 균마다 조금씩 다른 기능이 있으므로 균을 구분하는 법부터 알아둡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기능성을 인정한 프로바이오틱스는 19가지입니다(상단 표 참고). 그 중 가장 친숙한 균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로 마시는 요구르트에서 쉽게 찾을 수 있지요. 유익균의 이름은 속과 종에 따라 조금씩 다릅니다. 가령 과채유래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CJLP133(L.plantarum CJLP133)’은 락토바실러스 속, 플랜타럼 종의 C.. 2020. 8. 22.
[1]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는 어원에 따라 해석하면 미생물을 억제하기 위한 항생제 (antibiotics)와 대비되는 개념이다. 즉 인체에 해로운 미생물을 제거하는 항생제와 반대 로 인체에 이로운 미생물을 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1) 일반적인 정의에 따르면 프로바이오틱스는 인체에 유익한 균을 의미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실제로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 (FAO)와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2001년 프로바이오틱스를 “"Live microorganisms which when administered in adequate amounts confer a heal.. 2020. 8. 22.
"데일카네기 인간관계론" 1장 인간의 본성 1 비판은 아무런 효과가 없다 비판은 쓸데없는 짓이다. 상대방은 자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바로 방어태세를 갖추고 자신을 정당화하려고 애쓸 것이다. 비판은 가장 위험한 습관이다. 그것은 상대방의 자존심에 상처를 입히고 상처는 반항심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 어느 살인자의 소망 크로울리처럼 악마 같은 인간조차도 절대로 자신을 나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이런 사고를 가진 범죄자는 얼마든지 있다. 하물며 우리 같은 보통 사람들이야 말할 것도 없다. 그러니 죄에 대한 체벌과 질책ㅇ르 달게 밭을 리도 없지 않은가. 이것이 바로 만고불변의 인간 본성이다. ​ 어리석은 편지 뛰어난 외교적 수완으로 명성이 높았던 프랭클린은 그 비결이 누구에게도 나쁜 점은 얘기하지 않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렇다. 사.. 2020. 6. 22.
"해빗" 내 안의 충동을 이겨내는 습관 설계의 법칙 웬디 우드 ​ 인간 행동 연구 전문가.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습관의 형성 원리와 작동 방식에 대해 과학적으로 분석한 최초의 연구자이며, 『오리지널스』 저자 애덤 그랜트, 『그릿』 저자 앤절라 더크워스 등 세계적인 심리학 분야 전문가들로부터 습관 연구에 관한 세계 최고 권위자로 인정받고 있다. ​ 심리학.뇌과학.경영학.사회학 등 여러 학문을 넘나드는 방대한 연구를 통해 ‘습관 설계’라는 자신만의 구체적이고 독창적인 방법론을 도출했다. 무엇이 인간 행동의 지속성을 창조하는지 밝히고자 신경과학.인지심리학.행동동기론 등을 30여 년간 연구했으며 그와 관련한 수천 건의 실험을 기획.주도했다. “우리 삶의 43%가 습관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을 과학적으로 증명한 웬디 우드의 탐구 .. 2020. 6. 22.
"혼자 이기지 마라" 하버드 최고 석학에게 배우는 관계의 법칙 사람과 싸우지 말고 문제와 싸워라 ​ Part 1 관계의 장벽은 승부욕이다 [1] 가장 큰 적은 내 안에 있다 넓은 의미에서 협상이란 쌍방의 이해관계가 충돌하는 부분이 있을 때 그에 대한 합의를 이룰 목적으로 주고받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이다. ​ 이렇게 협상은 개인 생활과 직장 생활 모두에서 의사결정의 가장 중요한 형식으로 자리 잡았다. 협상은 공공 분야에서도 의사결정의 가장 중요한 수단으로 점차 확산되고 있다. ​ 사람은 유연하게, 문제는 강경하게 공동 문제 해결 Joint Problem Solving 방식 공동문제 해결이란 유연함과 강경함을 이분법적인 선택의 문제로 나누지 않고 이 둘을 결합시킨 개념이다. 즉, '사람에 대해서는 유연하게, 문제에 대해서는 강경하게' 대처하자는 의미다. ​ 공동 문제 해.. 2020. 6.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