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ook Review

"존리의 금융문맹 탈출" 대한민국 경제독립 프로젝트

by 욕심쟁이77 2021. 4. 18.
728x90
반응형

존 리

아무도 눈여겨보지 않았던 수익률 최하위 회사를 취임 2년 만에 선두그룹 회사로 탈바꿈시키면서 금융투자업계에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메리츠자산운용사의 대표이사다. 80년대 초 연세대 경제학과를 자퇴하고, 미국으로 건너가 뉴욕대(New York University) 회계학과를 졸업했다. 그 후 KPMG의 전신인 피트마윅(Peat Marwick)에서 회계사로 일하다, 미국 투자회사인 스커더 스티븐스 앤드 크락(Scudder Stevens & Clark)으로 옮겨 코리아펀드를 운용하면서 월가의 스타 펀드매니저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1984년에 설립된 코리아펀드는 한국시장에 투자한 최초의 뮤추얼펀드로, 당시 저평가된 한국의 주식들을 사들여 장기투자를 통해 엄청난 성공을 거뒀다. 1984년 상장 당시 600억 원이던 자산이 2005년 존 리 대표가 사임할 당시에는 1조 5천억 원으로 성장했다. 2005년 라자드 에셋 매니지먼트(Lazard Asset Management)로 자리를 옮긴 뒤에는 장하성 펀드로 알려진 한국기업지배구조펀드를 운용하면서, 국내 증시에 신선한 충격을 안겼다.

그가 2014년 미국생활을 접고 귀국길에 오른 이유는 두 가지다. 미국에서 배운 선진국의 경영철학과 그의 소신을 접목한 혁신적인 리더십이 기업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 보여주고 싶었기 때문이다. 또한 해외에서 활동하면서 키운 투자신념과 교육철학을 가능한 한 많은 사람과 공유하며 현명한 주식투자 문화를 정착시키고 싶었기 때문이다.

메리츠자산운용 대표를 맡은 이후 한국의 투자문화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금융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바꾸기 위해 버스 투어를 진행하여 5년여 간 약 1,000여 건의 강의를 통해 4만여 명을 만났고, 유튜브를 개설하여 각계각층의 사람들에게 금융문맹 탈피를 설파하고 있다. 국내 운용사 최초로 휴대폰으로 앱을 통한 비대면계좌 개설 및 펀드 투자를 가능하게 했으며, 펀드 보수체계도 고객에게 훨씬 유리한 방향으로 조정하였다. 연금저축펀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하루 만 원으로 시작할 수 있는 매일적립식 투자 시스템과 가족과 친구에게 펀드를 선물할 수 있는 시스템도 만들었다. 아이들이 실제로 투자를 경험해볼 수 있는 주니어펀드 투자클럽과 주부들의 금융문맹 탈출을 돕기 위해 주부투자클럽을 운용하고 있으며, 금융지식을 쌓고 주변에 전파하는 앰배서더 제도를 시작하였다. 저자는 월가의 중심에서 오랫동안 펀드매니저로서 일하면서 쌓은 경험과 철학을 모국의 투자자들에게 전해주는 것이 자신의 소명이라고 말한다.

저서로는 『왜 주식인가』, 『엄마, 주식 사주세요』 그리고 개개인이 부자가 되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법에 대한 『존리의 부자되기 습관』 이 있다.

안녕, 금융전도사 존 리입니다.

제1부 금융문맹 탈출

1 금융문맹이 무엇이기에?

지금 당장 금융문맹에서 탈출하라

금융문맹은 영어로 Financial Illiteracy라고 한다. 금융문맹은, 쉽게 말하자면, 금융 지식이 상당히 부족하다는 뜻이다.

왜 금융문맹에서 벗어나야 하는가?

자본주의의 기본 원리와 자본의 힘을 제대로 이해하면, 즉 '금융문맹'에서 벗어나면, 누구나 부자가 될 수 있다. 나는 이 점을 의심치 않는다.

2 401(k) 플랜과 미국의 금융 경쟁력

1980년에 도입된 퇴직연금제도인 401(k) 플랜은 미국이 다시 경쟁력을 회복할 수 있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고, 미국의 금융산업도 엄청난 경쟁력을 갖게 된다.

3 한국과 일본, 최악의 금융문맹 사례

고질적인 금융문맹 국가들

OECD 국가 중 가장 극심한 금융문맹으로 꼽히는 나라가 어디일까? 바로 이웃 나라 일본이다.

그런데 지금 우리나라가 안타깝께도 '금융문맹률로 따지면 세계 1등'인 일본을 너무 닮아가고 있다.

한국은 일본의 잘못을 되풀이하나?

돈이 일해서 벌어들이는 수익을 떳떳하지 않게 보는 문화가 전형적인 금융문맹의 사례다.

4 유대인의 길을 따라가라

계속 일본을 따라갈 것인가, 아니면 일본의 전철 밟기를 그만두고 유대인을 따라갈 것인가? 나는 우리가 유대인들의 길을 따라가야 한다고 믿는다.

한국은 인터넷 속도가 가장 빠를 뿐 아니라, 가장 안전하고 가장 대중교통이 발달한 국가이며, 그 국민은 가장 IQ가 높기도 하다. 한국의 장점을 가장 모르는 사람들이 바로 한반도에 살고 있는 우리 한국인이다. 해외투자자들이 자주 하는 말이다. 한국은 제도만 조금 개선하면 엄청난 잠재력이 있는데 우리는 왜 고치려 하지 않는가?

5 금융문맹은 이런 모습

금융문맹의 대표적 사례는 사교육비 지출이다. 한국의 부모들은 너무나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지출이지만, 사실은 가장 잘못된 지출이고 한국이 안고 있는 모든 문제의 근원이 되기도 한다.

근로자들 대부분은 본인의 퇴직연금이 DC(확정기여형)인지 DB(확정급여형)인지도 모른다.

전국의 어떤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도 금융이나 투자를 가르치지 않는다.

부동산은 괜찮고 주식은 나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6 테스트: 나의 금융 지식은 어느 정도?

주식이라는 것은 원래 무슨 목적으로 만들어진 걸까? 주식투자는 정말 위험한 것일까? 왜 주식투자가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을까?

채권이라는 것은 어떤 목적으로 어떤 주체가 발행하는 것이며, 어떻게 유통되는가? 채권 투자에는 어떤 위험이 따르는가?

기업이 주식을 발행함으로써 자금을 조달할 때 드는 비용과 채권을 발행함으로써 자금을 조달할 때 드는 비용 중 어느 쪽이 더 비쌀까?

주식과 펀드는 서로 어떻게 다른가? 직접투자와 간접투자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있는가?

주식에 투자할 때와 펀드에 투자할 때, 각각의 경우 투자자는 얼마나 많은 수수료 및 세금을 내야 할까?

개인이 투자할 수 있는 펀드에는 임의식과 적립식의 두 형태가 있다고 한다. 이 둘의 차이를 알고 있는가? 그리고 개방형 펀드와 폐쇄형 펀드는 서로 어떻게 다른가?

주식투자는 결국 제로섬 게임이라고 할 수 있을까? 아니면, 당사자 모두가 득을 보는 '윈-윈' 게임인가?

투자할 때의 '변동성(volatility)'과 '위험(risk)'이란 각각 어떤 의미이며, 둘 사이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주식을 매입하는 시점을 분산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와 관련하여 '달러 코스트 애버리지(Dollar Cost Average)'라는 용어를 들어본적이 있는가?

마켓 타이밍(Market Timing)이 어떤 의미인지 아는가?

공모펀드와 사모펀드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사모펀드는 좋지 않은 것이라는 선입관이 널리 퍼져 있는데, 정말 그럴까?

헷지 펀드라는 것이 언론에 자주 등장하는데 이를 정확하게 알고 있는가?

액티브 펀드와 패시브 펀드는 서로 어떻게 다른가? 이러한 펀드에 투자할 경우, 각각 어떤 장단점이 있으며, 어떤 위험이 수반되는가?

ETF라든가 TDF 같은 용어의 의미는 무엇인가?

부동산투자와 주식투자는 서로 어떻게 다른가? 생각나는 대로 차이점을 열거해보자.

최근 들어 부동산투자 분야에서 자주 언급되는 리츠(REITs)가 어떤 것인지, 정확히 알고 있는가?

부동산을 매입하여 소유하는 것과 월세로 임대하는 것, 이 둘 중 어느 편이 유리한지 계산해본 적이 있는가?

기업의 배당이란 무엇이며, 배당률은 어떻게 구하는 비율인가? 배당이 많거나 적다는 것은 기업에게 (그리고 투자자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가?

기업지배구조라는 용어가 언론에 자주 등장하는데, 그의미를 알고 있는가? 기업운영, 노사관계, 사회 정의, 부의 대물림 같은 측면에서 기업지배구조가 자주 논란의 대상이 되는데 나는 얼마나 많이 알고 있는가?

한 기업의 시가총액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시가총액은 어떻게 계산할 수 있는가? 한국 시장 전체의 시가총액은 얼마나 될까?

금융기관에는 크게 어떤 종류의 회사들이 있는가? 예를들어 일반인들이 잘 알고 있는 은행 이외에 어떤 형태의금융기관들이 있는가?

언론 기사에서 종종 보게 되는 IB(Investment Bank), 즉, 투자은행은 우리가 알고 있는 일반 은행과 어떻게 다른가?

"은행이 망하면 내 예금 금액 중 5,000만 원까지 보장되지만, 내가 돈을 맡긴 자산운용사가 망하면 내 투자 재산은 법으로 보호받을 수 없다.” 이렇게 말한다면, 옳은말인가, 틀린 말인가?

증권회사와 자산운용회사의 차이는 무엇일까? 제2금융권이라는 용어는 정확히 무슨 뜻일까?

보험에는 크게 나눠서 어떤 종류의 보험이 있는가? 보험 이라는 것은 정말 가입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일까? 나는 어떤 보험에 들어야 할 필요가 있는지 세심하게 따져본 적이 있는가?

어떤 종류의 보험이든 내가 가입하고 있다면, 나는 그 보험의 내용을 잘 알고 있는가? 혹은 대충이라도 이해

하고 있는가?

나의 경우, 노후를 준비하려면 과연 어느 정도의 돈이 필요할까? 나는 이것을 직접 계산해본 적이 있는가? 혹은 전문가에게 그 계산을 한 번 이라도 의뢰해본 적이 있는가?

퇴직연금에는 DC형과 DB형이 있다고 하는데, 이 둘 사이에는 정확히 무슨 차이가 있을까? 그리고 나에게는

둘 중 어느 쪽이 더 유리할까?

나는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연금저축편드 제도를 잘 이해하고 있는가? 이 제도의 활용은 어떤 식으로 노후준비에 도움을 줄 수 있는가?

금리 또는 이자(율)는 정확히 무엇을 가리키는가? 이자율이 오르면 채권 가격에는 어떤 식으로 영향을 미치는가?

기준금리는 어떤 금리를 가리키는 용어인가? 마이너스 금리는 어떤 의미이며, 어떤 경제 상황에서 마이너스 금리가 생길 수 있는가?

실질금리와 명목금리는 각각 어떤 뜻이며, 그 둘 사이의 차이는 무엇인가?

복리라는 개념을 나는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가? 그것은 자산의 증식에 어떤 식으로 기여하는가?

가령 100원으로 시작해서 매일 금액이 두 배씩 올라간다고 가정할 때, 한 달 후에는 금액이 얼마가 될지 계산할 수 있는가?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은 정확히 어떤 뜻인가? 이 둘과 전반적인 경제 상황은 서로 어떻게 영향을 미치게 될까?

한 국가의 총생산량을 가늠할때 사용하는 GNP와 GDP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Trader(트레이더)와 Investor(투자자)의 차이를 아는가? 나는 둘 중 어느 쪽 에 속하는가?

 

S&P500, 다우지수, NASDAO,FANG, BBIG7 같은 용어의 의미를 알고 있는가?

ROI와 ROE는 각각 무엇을 나타내는지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가?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나타내는 여러 지표 가운데 하나인 이자보상배율(Interest Coverage Ratio)이 무엇인지 정확히 아는가?

배당률(Dividend yield)이 무엇인지 아는가?

 

어느 회사에 현금이 너무 많으면 그 회사의 ROE에 어떤 영향을 끼칠까?

부채비율(Debt/Equity Ratio)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7 금융문맹, 어떻게 벗어날까?

금융문맹에서 벗어나는 지름길

사교육비를 끊을 수 있는 용기, 위험을 즐기고 창업을 원하는 젊은이들의 열정, 브랜드네임과 명품 백의 마케팅에 속지 않는 현명함, 매일 매일 턱없이 비싼 커피를 거부할 수 있는 의지. 이런 것들이 금융문맹에서 벗어나는 지름길이요, 부자 되는 길을 열어줄 라이프스타일의 혁명이다.

제2부 금융문맹 탈출과 주식투자

1 금융문맹 탈출은 주식투자와 맞닿아 있다

돈이 나를 위해 일하게 하라

금융문맹 탈출은 내가 돈을 위해 일하는 것이 아니고 돈이 나를 위해 일해야 한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부터 시작된다.

주식투자는 회사와 동업하는 것(Buy companies, not just shares.)

주식을 취득하는 것은 그 회사와 동업하는 것과 똑같은 행위다. 주식을 산다는 것은 종이를 사는 게 아니라 회사의 일부를 취득하는 것이다. 그것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첫걸음이다.

2 아직 주식투자를 망설이는가?

주식투자, 복리의 마법을 누리려면 하루라도 일찍 사고 하루라도 늦게 팔아라

투자하기 좋은 기업의 조건

내가 생각하는 투자하기 좋은 기업은, 부가가치를 현저히 창출할 수 있거나 진입장벽이 높은 기업이다.

무엇보다 대주주의 과거 업적을 평가하고, 경영진이 주주의 이익 극대화를 위해 어떤 일을 했는지 등을 볼 필요가 있다.

한국인들은 왜 아직도 주식이나 펀드를 어려워할까?

1) 우선 펀드 판매 채널에 문제가 적지 않다.

2) 펀드의 가장 큰 고객은 퇴직연금이다.

어떤 펀드에 투자해야 할까?

1) 펀드를 운용하는 자산운용사가 믿을 만한 회사인지를 먼저 살펴봐야 한다.

2) 장기적으로 투자하고 있는지를 알아봐야 한다. 장기적으로 투자했는지를 알아내는 방법의 하나가 '회전율' (turnover ratio)이라는 지표를 확인하는 것이다.

3) 세 번째로 봐야 할 것은 '수수료'다.

4) 단기간의 수익률을 보고 판단하는 우를 범하지 말아야 한다.

펀드매니저 자신은 이 펀드에 투자하고 있는가?

펀드매니저나 그 자산운용사의 직원들 역시 '자신의 돈'을 그 펀드에 투자하고 있는가, 하는 요소다.

3 주가, 단기간의 등락은 무시하라 : 당신이 전문가다

미국 금융 시장과 한국 금융 시장

미국에서는 기업의 경영진이 잘못을 저질렀을 때 이에 대한 처벌이 강력하다. 우리나라는 아직 그 단계까지 가진 않았지만, 그래도 그동안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특히 회계 쪽으로 많은 개선과 발전을 이룩했지만, 그 외 부문에서는 아직 미흡하기 때문에 주식 가격이 싼 편이다.

위험과 변동성 구별하기

내가 늘 주식은 장기투자해야 하고, 그 회사의 펀더멘털을 봐야 한다고 강조하는 게 그런 이유다. 어떤 주식을 매매할 때 그래프에 의존하기보다는, 그 회사의 경쟁력을 판단하고 투자해야 한다는 것이다.

위험한 생각

주식투자는 기술이나 기교가 아니라 철학이다.

주식을 사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일부를 사서 동업자가 되는 것, 이게 나의 철학이다.

부자가 되는 비결은 기술이 아니라 인내와 철학이다. 여유자금을 만들어서 투자하고, 기다리면 된다.

4 주식 매도는 ‘예외’ 조치다

장기투자가 진리다

주식투자란 그 회사의 지분을 갖게 되는 것이어서, 회사가 잘 되면 그 이익을 공유할 수 있다. 그게 바로 장기투자를 하는 이유다.

주식을 팔아야 할 세 가지 예외

1) 첫 번째로는 갑작스럽게 주식 가격이 급등했을 때다.

2) 두 번째로는 세상이 변했을 때다.

3) 그리고 세 번째로는 새로운 투자를 할 때다.

결론적으로 장기투자를 해야 돈을 벌게 되어 있고 성공한 투자자가 될 확률이 높다. 성공하려면 많은 참을성이 필요하다.

5 ‘동학개미’의 진군: 이제는 정부가 나서라

한국 주식은 싼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대한민국의 펀더멘털이 안 좋아서 주식 가격이 싼 것이 아니라, 주식에 투자하는 문화가 아직 본격 형성이 안 된 것뿐이다. 그럴수록 오히려 남들과 다르게 생각할 필요가 있으니, 우리나라에 투자할 만한 기업이 별로 없다는 생각은 지극히 잘못된 편견이다.

한국 주식이 프리미엄으로 거래되는 날은 온다

1. 퇴직연금 제도의 전환이 필요하다.

2. 국민연금 등 연기금 역시 한국 주식시장에의 투자 비중을 높여야 한다.

3. 기업지배구조의 발전이 필요하다.

4. 부동산으로 몰리는 어마어마한 크기의 자금이 방향을 바꾸어 기업에 투자되어야 한다.

제3장 액션 플랜 : 투자하기 가장 좋은 때는 바로 지금

투자하기 가장 좋은 때는 RIGHT NOW! 그리고 꾸준히 투자하라!

1 주식투자, 연금제도부터 이용하라

(1) 먼저 '퇴직연금' 제도부터 알아보자. 자신이 속한 회사의 '퇴직연금' 이 DB(확정급여)형과 DC(확정기여)형을 다 선택할 수 있는 것인지, 혹은 DB형만 택할 수 있는 것인지, 확인해야 한다.

(2) 둘째, '연금저축'의 경우는 어떤가? 누구나 가입할 수 있는 연금저축에는 '연금저축보험' 과 '연금저축펀드'라는 2가지 종류가 있다. 이 둘 중에는 주식투자 등의 운용으로 수익을 낼 수 있는 '연금저축펀드'가 더 유리하다.

(3) 나아가, 연금저축펀드와 함게 IRP 제도를 추가로 이용해서 주식투자를 시작하는 것이 가장 유리하다. '개인형 퇴직연금제도'로 불리는 IRP는 회사 단위로 가입하는 퇴직연금과는 달리, 재직 중에도 개인의 노후를 위해 '퇴직금 전용' 계좌에 가입하는 형태다.

1. 먼저 연금저축펀드 계좌를 개설한다. 그리고 일단 400만 원을 채우다. 보통 연금저축펀드는 증권회사에서 개설하거나, 직접 그 펀드를 판매하는 자산운용사에서 개설한다.

2. 연금저축펀드에 400만 원을 납입하고도 더 투자할 여유가 있다면, IRP 계좌를 통해 추가로 투자할 수 있다.

3. 연금저축펀드의 소득공제 한도인 400만원, 그리고 IRP 계좌의 소득공제 한도인 300만 원을 채운 다음에는, 추가로 1,100만원까지 연금저축펀드를 통해 투자할 수 있다.

(1) 연금저축펀드 400만원

(2) IRP 계좌 300만원

(3) 연금저축펀드, 1,100만 원

올바른 투자,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일단 월급의 10%는 무조건 떼어서 투자해야 한다. 여기서 몇 가지 중요한 게 있다. 우선 빚지지 말아야 하고, 라이프스타일을 바꿔야 한다.

이제부터 '매일, 조금씩' 부자가 되어야 한다. 어제보다는 오늘 조금 더 부자가 되어야 한다는 마음으로, 라이프스타일에 변화를 줘야 한다. 무엇보다 아끼는 습관이 중요하다.

부자가 될 수 없는 DNA

주식에 투자한다는 것은 누군가가 항상 내 노후를 위해서 일하게 만든다는 뜻이다.

부자 되는 라이프스타일

내가 가진 자본을 극대화하는 라이프스타일이 최선의 길이요, 자본을 없애는 라이프스타일이 최악의 길이다.

늘 긍정적이어야 한다

투자는 습관이다

소비하는 습관을 줄이고, 투자하는 습관을 지녀야 한다.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펀드를 선물하자

2 공부만 잘하는 아이보다 진정한 부자가 되는 아이를

사교육비, 우리 모두를 가난하게 만든다

아이들을 부자로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하겠는가? 결국, 어렸을 때부터 돈(부)의 중요성과 자본주의의 핵심을 가르쳐주고, 하루라도 빨리 투자를 시작하게끔 도와주며, 이를 위해 끈질기게도 잘못쓰이고 있는 돈, 즉, 사교육비를 아이들의 투자자금으로 전환해야 한다.

3 언제까지 취업에만 목을 맬 것인가?

주식시장에 상장된 기업 중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기업가들의 시가총액 비중은 앞으로도 점점 줄어들 것이다. 새로운 아이디어와 생각으로 큰 기업을 이룬 사람들이 중국이나 이스라엘처럼 많이 나와야 할 것이고, 또 그런 추세가 될 것이다. 다만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다시 강조하거니와, 지금의 교육시스템에 근원적인 개혁이 필요하다. 아이들을 강요된 공부로부터 해방하고 정말로 좋아하는 일을 하게 만들어주자. 이것이 우리 후손들 자신들뿐만 아니라, 국가차원에서도 한국이 일본의 실수를 답습하지 않는 길이다.

자본가 vs. 노동자

자본가이면서 노동자도 될 수 있고, 노동자이면서 자본가도 될 수 있다. 나는 그 연결고리가 주식이라고 생각한다.

자본과 노동의 관계를 잘 이해하면 여러분 모두 경제적인 독립을 이룰 수 있다고 확신한다.

주식투자는 자본가가 되고 싶다면 반드시 해야 하는 일이다.

4 집을 반드시 소유해야 한다는 강박관념

주식인가, 부동산인가?

여태까지 한국은 인구가 계속 늘어나고 경기가 확장되었기 때문에 부동산 가격이 올라갔지만, 만약 거꾸로 된다면 어떻게 될까? 반대 방향의 '레버리지 효과'로 인해 내재산이 더 빨리 줄어들 것이다.

가까운 일본의 예를 보라. 인구의 변화로 인해서 부동산 가격은 꾸준한 하락을 경험하지 않았던가. 한국 또한 그렇게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 투자자산 중 부동산 비중은 현저히 낮추어야 한다.

내 재산에서의 비중을 판단하자

보통 "주식 비중 = 100-내 나이"로 생각하면, 대체로 무난할 것 같다. 예컨데 내 나이가 50이라면 주식 비중은 100-(50세)=50%, 즉 재산의 50%가 주식이나 주식형 펀드에 투자되어야 한다는 이야기다.

나라에 따라 세금도 다르고 비용도 다르지만, 쉽게 계산할 수 있는 '5% 룰'이란 게 있다. 집 가격의 5%가 1년치 월세보다 훨씬 적다면 집을 사는 편이 유리하다는 법칙이다. 반대로 계산할 수도 있다. 월세가 100만 원이라고 가정하면 100만 원 × 12 ÷5%= 6억 원 정도가 적절한 집 가격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노후준비와 자산 증식을 위한 여러 가지 투자 대상

(1) 우선 경제주체인 국내 기업들의 지속 성장을 위해 그들의 파트너(동업자)가 된다는 점에서 근원적으로 탁월한 긍정 효과를 가지며, (2) 투자자 개인을 위해서도 장기간에 걸쳐 압도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가져다줌으로써 '쉬지 않고 나를 위해 일해주는' 투자자산이 되어주기 때문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