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토플/라이팅독립형

토플 라이팅 독립형 10. (TOEFL Writing)

by 욕심쟁이77 2020. 2. 13.
728x90

10. Teachers should be paid according to their students' performance.

교사는 학생의 성적에 따라 월급을 받야야 한다.

disagree

1. unfair, X have equivalent subjects and students

- some courses harder than others, some students better than others

- e.g. in my geometry class, many students could not keep up, not teacher’s fault

2. fosters atmosphere of competition and distrust among teachers

- teachers work for own benefit, distraction from duties

- e.g. study: school system’s policy of pay based on student performance, some teachers angry

 

Some people think that teachers should be paid according to their student's performance. However, in my opinion, that system is unfair because teachers do not have the same courses, and it creates a feeling of competitiveness and suspicion among teachers.

일부 사람들은 교사가 학생의 성적에 따라 월급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내 생각에, 그러한 시스템은 불공정하다. 그 이유는 교사들이 동일한 과목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며, 그것이 교사들 사이에 경쟁심과 의심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To begin with, paying teachers based on student performance is not fair because teachers do not have equivalent subjects. Some courses are much harder than others, so it will be more difficult for those teachers to elevate student performance. For example, in my geometry class, many of the students could not keep up because geometry is a very challenging subject. Some of them found the material too abstract and analytical, but the teacher could not show down for them because she had to finish the lessons on time. But everyone liked the teacher, and she always enthusiastic about sharing her knowledge. So I think it would be unfair if she were penalized with a lower pay than other teachers just because shd was teaching a difficult course.

우선, 교사들의 월급을 학생 성적에 따라 주는 것은 교사가 동일한 과목을 맡고 있지 않으므로 공정하지 않다. 어떤 과목들은 다른 과목보다 훨씬 더 어려우므로, 그 과목들을 가르치는 교사들은 학생의 성적을 올리기가 더 어려울 것이다. 예를 들어, 내가 들었던 기하학 수업에서 기하학이 매우 어려운 과목이었기 때문에 많은 수의 학생들이 진로를 따라가지 못했다. 그들 중 일부는 공부할 내용이 너무 추상적이고 분석적이라고 생각했지만, 선생님은 제시간에 강의를 마쳐야 했기 때문에 그 학생들은 위해 진로를 늦출 수가 없었다. 그러나 모든 이들이 그 선생님을 좋아했고, 그 선생님은 항상 지식을 나누는 데 열정적이셨다. 그래서 나는 그 선생님이 단지 어려운 과목을 가르친다는 이유만으로 다른 교사보다 더 적은 봉급으로 처벌을 받는다면 불공정하다고 생각한다.

On top of that, establishing a pay scale that relies on how students perform fosters an atmosphere of competition and mistrust among teachers in the same school system. In such a system, teachers would work for their own benefit rather than cooperating with other teachers in a holistic manner. This could lead to a distraction from their overall duties, which includes working together to improve the school system as a whole. According to a study of one school system by the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the school's policy of compensating educators based on student performance led to disharmony among teachers. Teachers who had more qualifications and experience became angry when newer teachers got larger pay raises because their students happened to be doing well.

게다가, 학생의 성적에 따라 교사 급여 체계를 수립하는 것은 학교 내의 교사들간에 경쟁과 불신이라는 분위기를 조성한다. 그러한 시시템에서 교사들은 전체적인 시각에서 다른 교사들과 협력하기보다는 그들 각자의 이득을 위해 일하게 될 것이다. 이는 학교 전체 시스템을 개선시키기 위해 함께 노력하는 것을 포함한 그들의 전반적 의무를 소홀히 할 수 있다. 국가 교육의 협회의 한 학교 시스템 연구에 따르면, 그 학교는 학생 성정을 기반으로 한 교육자 보상 정책을 실시했고 이는 교사들간의 부조화를 불러일으켰다. 자격과 경험을 더 많이 가진 교사들은 새로운 교사들이 단지 그들의 학생들이 성적이 좋다는 이유로 더 맣은 급여를 받자 화를 냈다.

To sum up, compensating teachers based on the performance of their students is unfair because not all teachers teach the same subject. Moreover, this type of pay system cultivates an environment of antagonism and wariness among educators. In this regard, I disagree with the notion that students' performance should be the basis for how much teachers are compensated.

요약하자면, 학생들의 성적에 따라 교사들을 보상하는 것은 불공정하다. 그 이유는 모든 교사들이 같은 과목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런 급여 체제는 교육자 간에 적대감과 경계심의 환경을 만든다. 이러한 점에서, 나는 학생들의 성적이 교사들의 보상 기준이 되야 한다는 생각에 반대한다.

 

source: 해커스토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