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력증'이라는 개념은 코로나19 팬데믹이 한창일 때 뉴욕 타임즈에 기고한 아담 그랜트의 글에서 대중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그랜트가 설명한 대로 무기력증은 정서적 침체 또는 공허함의 상태로, 종종 동기 부여 부족, 집중력 저하, 일반적인 목적의식 부재를 특징으로 합니다. 번아웃이나 우울증과는 달리 무기력증은 격렬한 감정이 아니라 지속적인 둔함과 성취감 부족을 수반합니다(Grant, 2021).
이 용어는 팬데믹으로 인한 장기간의 불확실성과 사회적 고립 기간 동안 임상적으로 우울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일상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많은 사람들의 감정을 담아내어 전 세계적으로 반향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무기력증은 정신 건강 장애는 아니지만 웰빙과 생산성을 저해할 수 있어 현대 심리학적 담론에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번영과 정신적 웰빙에 관한 연구로 유명한 심리학자 코리 키스는 이중 연속체 모델을 통해 정신 건강을 이해하는 접근 방식을 제시합니다. 이 모델은 정신 질환의 유무와 정신적 웰빙의 질을 구분합니다(Keyes, 2007). 임상적 정신 질환이 없는 사람이라도 키즈의 제안처럼 쇠약해지면 건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는 단순히 정신 질환을 치료하는 것에서 정서적, 심리적, 사회적 안녕 상태인 번영을증진하는 것으로 초점을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무기력증을 더 잘 이해하고 퇴치하려면 먼저 이러한 현상에 기여하는 사회적, 환경적 요인을 인정해야 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고립감, 목적의 부재, 의미 있는 상호작용의 기회 감소가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VanderWeele, 2017). 무기력증은 개인의 성장, 창의성, 의미 있는 사회적 관계를 제한하는 환경에서 번성합니다.
키이스와 다른 심리학자들에 따르면 무기력에 대한 해독제는 학습, 사회적 연결, 영성, 목적, 놀이 등 정신적 웰빙을 위한 다섯 가지 핵심 '비타민'을 키우는 것입니다. 이러한 각 요소는 개인에게 성장, 연결, 활력을 되찾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무기력증을 특징짓는 침체와 싸우게 해줍니다(Keyes, 2010).
- 학습: 새로운 지식이나 기술을 추구하면 호기심과 성취감을 다시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정규 교육이 아니더라도 지속적인 학습은 인지 기능과 정서적 웰빙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합니다(Seligman, 2011).
- 사회적 연결: 강력하고 신뢰할 수 있는 관계를 구축하는 것은 정신 건강의 기초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는 더 큰 행복과 소속감으로 이어진다고 합니다(Holt-Lunstad 외, 2010).
- 영성: 종교적이든 개인적이든 영적 수행에 참여하는 것은 개인에게 평화와 목적 의식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영성은 역경에 직면했을 때더 큰 회복탄력성과 관련이 있습니다(Koenig, 2012).
- 목적: 일이나 기타 활동에서 의미를 찾으면 삶의 만족도가 높아집니다. 연구에 따르면 명확한 목적의식을 가진 사람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정서적 균형을 유지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합니다(Damon 외, 2003).
- 놀이: 구조화되지 않은 즐거운 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하면 스트레스를 줄이고 창의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스튜어트 브라운이 지적했듯이, 놀이는 인지적, 정서적 유연성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Brown, 2009).
전 세계적인 팬데믹과 그 영향은 기존의 사회적, 경제적, 심리적 압박을 더욱 가중시켰을 뿐입니다. 전 세계가 이 위기에서 벗어나면서 무기력증을 해결하려면 정신 건강에 접근하는 방식에 대한 체계적인 변화가 필요합니다. 즉, 번영을 우선시하고, 웰빙을 촉진하는 환경을 조성하며, 정신 질환이 이미 뿌리를 내린 후에 치료하는 사후 대응적 모델을 넘어서야 합니다(Insel, 2014).
결론적으로, 무기력증은 널리 퍼져 있는 문제이지만 극복할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개인적 성장, 의미 있는 관계, 목적 중심의 행동, 일과 놀이의 건강한 균형을 통해 번영을 촉진함으로써 개인은 침체감을 극복하고 활력이 넘치는 삶을 재발견할 수 있습니다.
References:
- Brown, S. (2009). Play: How it Shapes the Brain, Opens the Imagination, and Invigorates the Soul. Avery.
- Damon, W., Menon, J., & Bronk, K. C. (2003). The development of purpose during adolescence. Applied Developmental Science, 7(3), 119-128.
- Grant, A. (2021). There's a Name for the Blah You're Feeling: It's Called Languishing. The New York Times.
- Holt-Lunstad, J., Smith, T. B., & Layton, J. B. (2010). Social relationships and mortality risk: A meta-analytic review. PLoS Medicine, 7(7), e1000316.
- Insel, T. (2014). The NIMH Director’s Blog: Transforming Diagnosis.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 Keyes, C. L. (2007). Promoting and protecting mental health as flourishing: A complementary strategy for improving national mental health. American Psychologist, 62(2), 95-108.
- Seligman, M. E. P. (2011). Flourish: A Visionary New Understanding of Happiness and Well-being. Free Press.
- VanderWeele, T. J. (2017). On the promotion of human flourishing.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4(31), 8148-8156.
'Book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퓨처 셀프" 현재와 미래가 달라지는 놀라운 혁명 (7) | 2024.10.06 |
---|---|
"빠르게 생각하고 똑똑하게 말하라" 스탠퍼드대 최고의 말하기 강의 (1) | 2024.09.29 |
필립 코틀러 마켓 6.0 (5) | 2024.09.29 |
"승자의 언어" 결국 원하는 것을 얻는 사람들의 15가지 도구 (0) | 2024.09.20 |
"브랜드의 거짓말" 인간의 욕망을 사로잡은 마케팅 설계의 기술 (3) | 2024.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