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표정은 타고나는가 학습되는가?
폴 에크먼이 표정 연구에 뛰어든 1950년대 말, 문화인류학의 영향력이 절정이던 학계는 ‘표정은 사회적으로 학습되고 문화마다 다르다’라는 견해가 지배적이었다. 에크먼은 칠레, 아르헨티나, 브라질, 일본, 미국 등 서로 다른 문화권의 사람들에게 동일한 사진을 보여준 후 감정을 판정해달라고 부탁했다. 대다수가 동일한 판정을 내렸는데, 이것은 표정이 인류 보편적일 수 있음을 시사했다. 그러나 피실험자들이 TV나 영화 등을 통해 서양인의 표정과 감정의 의미를 배웠을 가능성도 있었다. 그래서 그는 TV도 잡지도 없는 외부와 완전히 고립된 문화의 사람들에게 같은 실험을 해보았다.
1967년과 1968년 파푸아뉴기니 고원지대의 원시부족 포레족을 대상으로 한 그의 두 차례 실험은 표정은 보편적이라는 다윈의 주장과 일치했다. 만일 표정이 학습될 필요가 있다면, 선천적 맹인은 정상인과 다른 표정을 지을 것이다. 하지만 그들도 같은 감정을 경험할 때 동일한 표정을 짓는다. 많은 인류학자들이 발견한 반례(“많은 문화권의 사람들이 불행할 때 웃는다.”)에 대해서 에크먼은 ‘표시규칙’이란 개념으로 설명했다. 즉 감정과 표정은 보편적이지만, 표정 관리의 규칙은 사회적으로 학습되고 문화마다 다르다는 것이다. 그래서 혼자 있을 때는 타고난 표정이 나타나지만, 다른 사람들이 있으면 관리된 표정이 나타날 수 있다.
대표적 감정들을 식별하는 법
에크먼은 매 장마다 하나의 감정을 다루며 각 감정의 특성과 전형적 표정을 설명하고, 그 감정을 스스로 느껴볼 수 있는 연습방법을 제시하고, 타인의 얼굴에 나타날 경우 눈, 눈꺼풀, 눈썹, 입, 입술, 턱, 뺨 등에서 관찰할 수 있는 미세한 특징들을 딸 이브의 표정사진과 함께 분석한다. 그 표정들은 우리에게 너무나 친숙한 것이지만 어떤 감정이라고 판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이는 그 표정이 전형적(완전한) 표정이 아니라 ‘부분 표정’이거나 ‘약한 표정’이기 때문이다. 즉 감정이 이제 막 시작되었거나 약하거나 억눌린 경우다. 에크먼은 ‘미표정’까지를 포함해 이 세 표정을 ‘미세 표정(subtle expression)’이라고 부르고 누구나 손쉽게 연습할 수 있는 SETT(미세표정훈련도구)를 홈페이지(www.paulekman.com)에서 제공하고 있다.
에크먼은 즐거운 감정을 이야기하며 ‘피에로(fiero)’ ‘나헤스(naches)’ ‘샤덴프로이데(schadenfreude)’를 예로 드는데, 피에로는 자신의 성취에 느끼는 뿌듯함을 가리키는 이탈리아어이고, 나헤스는 자녀가 주는 기쁨이나 자랑스러움을 가리키는 이디시어이고, 샤덴프로이데는 남의 불행을 고소해하는 마음을 가리키는 독일어다. 에크먼은 감정이란 보편적이지만 그것을 가리키는 최적의 단어가 특정 언어에 없는 경우도 있다고 말하며, 어떤 언어에 해당 단어가 없다면 감정일 수 없다고 주장하는 편협한 견해를 반박한다. 말이란 감정이 아니며, 단지 감정을 표현하는 도구일 뿐이다.
728x90
반응형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린 스완" 회복과 재생을 촉진하는 새로운 경제 (6) | 2022.01.11 |
---|---|
"나를 힘들게 한 건 언제나 나였다" ‘인간 관계론’ 데일 카네기의 마음 성장 수업 (14) | 2022.01.10 |
필패 신드롬 유능한 직원도 실패하게 만드는 리더는 누구인가 (0) | 2022.01.09 |
"리더가 다 잘할 필요는 없다" 최고가 되지 않고도 정상에 이르는 9가지 일의 기술 (10) | 2022.01.07 |
"우리의 인생이 겨울을 지날 때" 얼어붙은 시간 속에서 희망을 찾는 법 (2) | 2022.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