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시절의 위대한 재구성: 디지털 시대가 Z세대에 미치는 영향
1990년대 중반에서 2010년대 초반 사이에 태어난 Z세대는 인터넷, 스마트폰, 소셜 미디어와 함께 성장한 디지털 네이티브라고 불립니다. 이러한 만연한 연결성으로 인해 일부 연구자들은 전통적인 형태의 아동 및 청소년 발달이 디지털 기술에 의해 크게 변화하는 현상을 '아동기의 대전환'이라고 부릅니다. 이러한 디지털 몰입이 Z세대의 정신 건강, 사회성 발달, 전반적인 웰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봅니다.
지속적인 연결성과 정신 건강
Z세대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디지털 세상과 거의 끊임없이 연결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청소년의 상당수가 "거의 항상" 온라인에 접속하고 있으며, 이 수치는 초기의 약 24%에서 2022년에는 46%로 두 배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퓨 리서치 센터, 2022). 이러한 지속적인 온라인 활동은 정신 건강에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칩니다.
MIT 교수인 셰리 터클은 스마트폰이 개인이 현실 세계에 물리적으로 존재할 때에도 항상 디지털 생활에 연결되어 있는 문화를 만들어냈다고 주장합니다(Turkle, 2015). 이러한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지속적인 참여는 10대 청소년의 불안과 우울증 발병률 증가에서 알 수 있듯이 불안과 우울증을 심화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과도한 소셜 미디어 사용은 우울증 발병률 증가와 관련이 있으며, 특히 하루에 5시간 이상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는 10대 소녀들은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지 않는 청소년에 비해 우울증에 걸릴 확률이 3배 더 높다고 합니다(Twenge & Campbell, 2018).
놀이와 사회적 기술의 침식
전통적이고 구조화되지 않은 놀이는 아이들의 정서적, 사회적 발달에 매우 중요합니다. 놀이를 통해 아이들은 감정 관리, 갈등 해결, 공감 능력 개발과 같은 중요한 삶의 기술을 배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디지털 기기의 등장으로 이러한 활동이 크게 감소하고 있습니다. Peter Gray의 연구에 따르면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역량을 키우는 자유 놀이가 급격히 감소하여 청소년의 정신 건강 문제가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Gray, 2011).
미국 소아과학회는 어린이가 정서적, 사회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어린이가 주도하고 구조화되지 않은 '진정한 놀이'가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AAP, 2018). 반면 디지털 놀이에는 이러한 신체적 상호작용과 자발성이 결여된 경우가 많습니다. 비디오 게임과 소셜 미디어가 촉진하는 가상 상호작용은 대면 상호작용과 같은 발달적 이점을 제공하지 못하여 잠재적으로 사회적 기술과 감정 조절 능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Gentile et al., 2014).
디지털 변위와 인지적 영향
디지털 기기의 보편적인 사용은 인지 발달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연구에 따르면 교육 환경에서 스마트폰이 있으면 학생들의 주의가 산만해져 집중력과 정보 흡수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고 합니다(Ward et al., 2017). 멀티태스킹의 개념은 특히 문제가 되는데, 일반적인 믿음과는 달리 인간은 진정한 멀티태스킹을 할 수 없으며, 대신 작업 간에 빠르게 전환하여 전반적인 인지 능력을 저하시킵니다(Ophir et al., 2009).
또한 디지털 기기의 끊임없는 방해와 알림은 단편적인 사고와 집중력 저하로 이어져 청소년의 지속적인 업무 집중을 점점 더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Cain & Mitroff, 2011). 이러한 인지 장애는 두뇌 발달의 중요한 시기인 청소년기에 특히 우려되는 문제입니다.
디지털 영향의 성별 차이
디지털 몰입의 영향은 성별에 따라 균일하지 않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소셜 미디어 사용은 남학생보다 여학생에게 더 뚜렷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학생은 사회적 비교에 더 많이 관여하고 사이버 괴롭힘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부적절감과 우울증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왕립 공중보건학회, 2017).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 제시된 이상화된 이미지와 라이프스타일을 따라야 한다는 압박감은 심각한 심리적 고통으로 이어져 10대 소녀들의 불안과 우울증 발병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Hamm et al., 2015).
반대로 남학생은 게임 및 온라인 음란물과 관련된 문제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경향이 있습니다. 비디오 게임의 강박적인 특성과 즉각적인 만족감은 인내심, 절제력, 실제 사회성 발달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현실 세계의 성취보다 가상의 성취를 선호하게 되어 정서적, 사회적 성숙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Ferguson, 2011).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권장 사항
디지털 시대가 Z세대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해결하기 위해 전문가들은 몇 가지 전략을 권장합니다. 조나단 하이트는 고등학생 이하의 스마트폰 사용 금지, 16세 미만의 소셜 미디어 사용 금지, 학교에서의 스마트폰 사용 제한, 구조화되지 않은 독립적인 놀이 장려 등 네 가지 주요 개혁을 제안합니다(Haidt & Allen, 2021). 이러한 조치는 디지털 기기에 대한 유해한 노출을 줄이고 더 건강한 발달을 장려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학교와 학부모는 이러한 전략을 실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학교는 수업 시간 중 스마트폰 사용을 제한하는 정책을 수립하고 신체 활동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장려하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부모는 디지털 기기 사용에 대한 명확한 경계를 설정하고 대면 상호작용과 신체 놀이를 장려하는 활동을 장려할 수 있습니다.
정부와 기술 기업도 책임이 있습니다. 정책 입안자들은 유해한 디지털 콘텐츠로부터 어린이를 보호하고 더 안전한 온라인 환경을 조성하는 규정을 제정할 수 있습니다. 기술 기업은 더 건강한 사용 패턴을 장려하는 제품을 설계하고 부모가 자녀의 스크린 사용 시간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Livingstone 외, 2017).
결론적으로, 디지털 기술은 전례 없는 정보 접근성과 연결성을 제공하는 반면, 정신 건강, 사회성 발달, 인지 기능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위험을 이해하고 목표에 맞는 전략을 실행함으로써 사회는 디지털 몰입의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하고 오늘날 청소년의 건강한 발달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References
- AAP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2018). The Importance of Play in Promoting Healthy Child Development and Maintaining Strong Parent-Child Bonds. Pediatrics, 119(1), 182-191.
- Cain, M. S., & Mitroff, S. R. (2011). Distractor Filtering in Media Multitaskers.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18(2), 339-344.
- Ferguson, C. J. (2011). The Influence of Television and Video Game Use on Attention and School Problems: A Multivariate Analysis with Other Risk Factors Controlled.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45(6), 808-813.
- Gentile, D. A., Swing, E. L., Lim, C. G., & Khoo, A. (2014). Video Game Playing, Attention Problems, and Impulsiveness: Evidence of Bidirectional Causality. Psychology of Popular Media Culture, 1(1), 62-70.
- Gray, P. (2011). The Decline of Play and the Rise of Psychopatholog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merican Journal of Play, 3(4), 443-463.
- Haidt, J., & Allen, N. (2021). The Coddling of the American Mind: How Good Intentions and Bad Ideas Are Setting Up a Generation for Failure. Penguin Books.
- Hamm, M. P., Newton, A. S., Chisholm, A., Shulhan, J., Milne, A., Sundar, P., ... & Hartling, L. (2015). Prevalence and Effect of Cyberbullying on Children and Young People: A Scoping Review of Social Media Studies. JAMA Pediatrics, 169(8), 770-777.
- Livingstone, S., Mascheroni, G., & Staksrud, E. (2017). European Research on Children’s Internet Use: Assessing the Past and Anticipating the Future. New Media & Society, 20(3), 1103-1122.
- Ophir, E., Nass, C., & Wagner, A. D. (2009). Cognitive Control in Media Multitasker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6(37), 15583-15587.
- Pew Research Center. (2022). Teens, Social Media and Technology 2022. Retrieved from Pew Research Center.
- Royal Society for Public Health. (2017). #StatusOfMind: Social Media and Young People’s Mental Health and Wellbeing. Retrieved from RSPH.
- Turkle, S. (2015). Reclaiming Conversation: The Power of Talk in a Digital Age. Penguin Press.
- Twenge, J. M., & Campbell, W. K. (2018). Associations Between Screen Time and Lower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Evidence from a Population-Based Study. Preventive Medicine Reports, 12, 271-283.
- Ward, A. F., Duke, K., Gneezy, A., & Bos, M. W. (2017). Brain Drain: The Mere Presence of One’s Own Smartphone Reduces Available Cognitive Capacity.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2(2), 140-154.
'Book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 설계자" 잘 설계된 목표가 당신의 인생을 바꾼다 (0) | 2024.08.05 |
---|---|
"우리는 사랑을 모른다" 에리히 프롬에게 배우는 사랑의 심리학 (0) | 2024.08.04 |
"어떻게 극단적 소수가 다수를 지배하는가" 우리의 민주주의가 한계에 도달한 이유 (0) | 2024.08.04 |
"질병 해방" 치매, 암, 당뇨, 심장병과 노화를 피하고 건강하게 오래 사는 법 (0) | 2024.08.04 |
부자의 그릇 (0) | 2024.08.04 |